소소한 활동/수입, 재테크

서울 청년수당 - 지급일, 사용처, 사용불가 업종, 자기활동기록서

수런수련 2024. 7. 26. 08:00

청년수당은 언제 지급되나요?

 

매월 29일에 지급됩니다.

회차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6회차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9일 29일 27일 29일 29일 27일
요일

 

해당일이 주말이나 공휴일인 경우 직전 평일에 지급됩니다.

 

 

 

 

 

 

 

 

 

청년수당은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

 

청년수당은 구직활동, 자기계발, 생활비, 여가비 등에 사용할 수 있어요.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 관련 비용 : 자격증, 학원, 독서실비, 도서구입 등

구직활동을 위한 부가 비용 : 미용실, 면접, 복장, 타 지역 이동 교통비 등 

일상생활 비용 : 월세, 관리비, 공과금(조세, 연금 제외), 통신비(소액결제 제외), 식비, 교통비(해외항공권 제외), 의료비(미용목적 제외) 등 


미용실, 의류비에도 쓸 수 있어요.

 

반응형


건강보험료
납입, 학자금대출 및 주거용 대출 납입 시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수당 해외사용

 

청년수당은 다양한 상황과 필요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요. 그러나 해외사용은 불가합니다.

교통비도 해외항공권은 제외입니다.

 

그러나 해외출국, 해외여행이 불가하진 않습니다.

(청년수당 카드를 쓰지만 않으면 됩니다)

서울 청년수당 기간 중 해외입출국 가능할까?

 

서울 청년수당 기간 중 해외입출국 가능할까?

청년수당의 의의 서울 청년수당은 만 19세~34세 미취업 또는 단기 근로 청년에게 활동지원금(월 50만 원 최대 6개월)을 지급합니다. 강점진단 종합지원, 멘토링, 취업지원 프로그램 제공 등 청

soorun.tistory.com

 

 

 

 

 

 

 

청년수당 사용불가

 

앞서 청년수당 사용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대로 청년수당을 사용할 수 없는 곳은 어디일까요?

(사용불가 업종을 제외하면 다 쓸 수 있는 듯합니다!)

 

청년수당 사용불가 업종은

 

호텔, 콘도, 숙박시설, 면세점, 주류, 상품권, 복권, 귀금속, 보험, 도박

 

등입니다.

한눈에 봐도 사용하면 안될 것 같죠?

 

예금, 적금, 세금 납부, 민간보험, 국민연금 등 개인 재산형성과 관련된 지출 또한 허용되지 않습니다.

 

 

 

 

 

 

청년수당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체크카드 사용이 원칙입니다.

(신한은행 계좌 만들 때 발급받은 체크카드)

 

온라인, 인터넷 결제도 가능합니다.

 

서울 청년수당 예비선정자 - 필수이행사항 완료! (참여자 사전교육, 계좌 발급)

 

서울 청년수당 예비선정자 - 필수이행사항 완료! (참여자 사전교육, 계좌 발급)

서울시 청년수당 필수이행사항 1차적으로 서류를 통과한 청년수당 예비선정자는 필수이행사항 2가지를 완료해야 최종선정 됩니다. 7월 15일부터 19일까지 정해진 기간 내 두 가지 필수이행사항

soorun.tistory.com

 

예외적으로 현금이용도 가능하지만, 증빙자료를 꼭 제출해야 합니다.

(계좌이체만 가능, 현금 인출은 안됨)

 

관리비, 통신비, 건강보험료 등은 카드결제가 가능하니 이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청년수당 자기활동기록서 제출

 

청년수당 사용내역에 대해 매월 자기활동기록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청년몽당정보통을 통해 작성합니다)

 

https://youth.seoul.go.kr/

 

https://youth.seoul.go.kr/

 

youth.seoul.go.kr

 

 

작성기한은 매월 15일부터 익월 10일까지입니다.

(꽤 깁니다)

자기활동기록서 미제출 시 청년수당 지급이 중지되니 반드시, 꼭 작성하기를 바랍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청년수당을 다 쓰지 못한 경우

서울 청년수당 예비선정자 - 필수이행사항 완료! (참여자 사전교육, 계좌 발급)

서울시 청년수당 예비선정자 발표, 선정여부 확인하기

2024 중위소득 기준 - 50%, 80%, 100%, 120%, 150%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