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증여 후 신고 기한
해외주식을 가족 증여 후 반드시 국세청에 증여했음을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기한은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입니다. 12월에 신고했다면 다음 해 3월 31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wyse/btsLlPSg3z4/vXdB420gXTFyeSDuHl4A90/img.png)
해외주식 증여 후 신고, 언제부터 가능한가?
그러나 해외주식 증여 후 바로 신고는 불가능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홈택스에 증여세 신고 시, 증여한 주식의 평균가격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죠.
여기서 평균가격이란 증여받은 날 전후 2개월, 즉 4개월간 주가의 평균을 말합니다. 즉 2024년 12월 16일 증여를 했다면 2025년 2월 16일 이후에야 증여 신고를 할 수 있는 것이죠.
해외주식 증여 후, 증여세 신고는 증여받은 날로부터 2개월 후에 가능합니다.
해외주식 증여 후 신고기한 : 한두 달
![](https://blog.kakaocdn.net/dn/bWxhkW/btsLkWYV8V0/jQLPk2NilYNK54K9SlUVQk/img.png)
해외주식은 증여 후 2개월이 지나야 신고할 수 있습니다. 또, 3개월이 지나기 전에 신고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신고가능한 기간은 생각보다 길지 않습니다.
2024년 12월 16일 증여를 했다면
1. 2개월이 지난 2025년 2월 16일 이후부터 증여 신고를 할 수 있고,
2.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신고해야 하므로
실질적인 신고기한은 2월 16일부터 3월 31일까지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대략 한 달 하고 보름이네요.
해외주식 증여 후 증여세 신고가능 기한은 최소 한 달~ 최대 두 달입니다. 한달이 짧다면 (좀 더 여유를 두고 신고를 하고 싶다면) 월초에 증여하길 추천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대신증권 해외주식 증여방법은? (증권 계좌 간 이체, 타인 명의 증여)
키움증권 해외주식 증여방법은? (증권 계좌 간 이체, 타인 명의 증여)
증권사 외화이체, 외화출금 (달러예수금 수수료 없이 무료 인출하는 법)
'소소한 활동 > 수입,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가족 증여 - 대신증권 영업점 방문 (1) | 2024.12.22 |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부부간 증여 쌍방 가능? (0) | 2024.12.21 |
대신증권 해외주식 증여방법은? (증권 계좌 간 이체, 타인 명의 증여) (2) | 2024.12.17 |
키움증권 해외주식 증여방법은? (증권 계좌 간 이체, 타인 명의 증여) (0) | 2024.12.16 |
부킹닷컴 어필리에이트(제휴마케팅) 가입, 신청방법, 신청절차 (4)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