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 고달프지만 또 안 할 수 없으니/종합소득세

종합소득세 표준세액공제 7만원? 13만원?

수런수련 2023. 6. 10. 00:01

표준세액공제는 소득의 종류에 달려있다.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 전 미리 알아둬야 할 내용 세 번째는 바로 표준세액공제입니다. 표준세액공제는 종소세 신고 과정 중 막바지 부분, 세액공제 항목에 해당합니다. (종합소득세 계산은 크게 세액계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파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반응형

 

세액공제 명세 - (41) 표준세액공제는 본인이 가지는 소득의 종류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공제 금액이 달라집니다.

즉, 본인이 얻는 소득의 종류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산출세액에서 표준세액공제를 받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종소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를 줄이기 위해 홈택스의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를 이용하여 근로소득 외 다른 소득이 있는지 등을 알아보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홈택스 - 조회/발급 -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

 

 

 

 

 

 

 

표준세액공제 받는 게 좋나요?

 

표준세액공제소득의 종류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가 다릅니다. 특히 근로자의 경우 개개인마다 표준세액공제를 받는 게 유리할 수도 있고, 안 받는 게 더 좋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각각 계산해 본 후 유리한 쪽으로 적용합니다.


근로소득이 없고 종합소득금액이 있는 경우,

표준세액공제 7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가 아닌 종소세 신고대상자라면 표준세액공제 7만 원을 놓치지 않고 챙겨야겠죠? (중요중요) 예를 들어 사업소득만 있는 사람은 표준세액공제 7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자라면,

표준세액공제를 받는 게 본인에게 유리한지 아닌지를 따져보고, 표준세액공제를 받거나 받지 않거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표준세액공제 13만 원과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받을 금액이 많다면, 표준세액공제를 포기하는 게 유리하겠죠?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신청하지 않은' 근로자는 표준세액공제 13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신청한' 근로자는 표준세액공제 13만 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금융소득만 있는 경우,

표준세액공제는 없습니다. 원천징수된 금융소득만 있는 경우 표준세액공제를 적용하지 마세요!! (원천징수세율 적용받지 않은 이자소득 등에 대한 산출세액에 대해서는 산출세액 범위 내에서 공제 가능)


의료비, 교육비를 신청하지 않은 성실사업자,

준세액공제 12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 표준세액공제 13만 원

 

근로자는 표준세액공제 13만 원과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유리한 쪽을 적용합니다. 그렇다면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해당하는 내역은 무엇일까요?

1) 특별소득공제 : 건강보험료 등,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기부금(이월분)
2) 특별세액공제 : 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법정기부금 및 지정기부금
3) 월세세액공제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자특별소득공제, 특별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신청하지 아니한 경우 표준세액공제 13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특별소득공제) 건강보험료 등,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기부금(이월분)
 - (특별세액공제) 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법정기부금 및 지정기부금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특별소득공제, 특별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 신청한 경우, 표준세액공제 13만 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①, ② 중 근로자에게 유리한 쪽을 적용합니다. (표준세액공제 13만 원 vs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택일)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 시

① 표준세액공제(13만 원)를 적용한다면
   - 특별소득공제, 특별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 항목들에 '0'을 기재합니다.

② 특별소득공제, 특별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를 적용한다면
   - 표준세액공제란에 '0'을 기재합니다.

 

종합소득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득의 종류를 알고, 표준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있다면 적용하여 공제 혜택을 받도록 합니다.

근로자라면 표준세액공제를 적용한 경우와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적용한 경우의 종합소득세를 각각 계산 후 유리한 쪽을 선택합니다.

처음엔 잘 모르고, 표준세액공제 13만 원과 각종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둘 다 적용시켰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둘 다 적용은 안된다고 빠꾸 먹었습니다.
2023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각 경우를 계산한 결과 저는 특별소득공제, 특별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를 적용한 경우의 산출세액이 표준세액공제를 받은 경우보다 조금 더 적었기 때문에 표준세액공제란에 '0'을 기재했습니다. 그러나 차이가 매우 적어서 어느 쪽을 택해도 큰 상관은 없었겠다 싶네요.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종합소득세 계산방법 (과세표준, 산출세액, 결정세액, 기납부세액)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A to Z - 모두채움신고(근로소득 + 기타소득)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시 가장 먼저 할 일 2. 납부한 고용보험료 확인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시 가장 먼저 할 일 1. 신고유형 확인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 내용을 숙지할 것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 간편장부대상자, 복식부기의무자

부동산 임대수익 종합소득세 줄이는 방법 3가지 [절세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