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건강보험
퇴직을 하게 되면, 4대 보험이 All STOP 되는데(4대 보험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필요 없다 해도 건강보험은 여전히 필요하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6.gif)
일을 안 할 때라도 사람은 아플 수 있고, 병원은 가야 하니까! (건강보험료를 납입해야 의료기관 내원 시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면, 병원비가 매우매우 비싸지기 때문에 건강보험은 꼭 가입해야 한다)
일전에 언급한 '실업크레딧' 제도가 국민연금에 대한 내용이었다면,
실업급여) 실업크레딧 뜯어보기
<실업크레딧 제도> 실업급여에 대해 알아보다 보면, 실업인정을 신청해야 하고 실업크레딧 제도를 신청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점이 온다. 나 또한 그랬는데, 실업크레딧 제도에
soorun.tistory.com
이번에는 실직자의 퇴직 후 건강보험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퇴직 후 건강보험 자격변동
퇴직을 하고 집에 있다 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역가입자 자격취득 신고서가 날라온다.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자격이 변동됨을 알리는 것인데, 대체로 직장가입자보다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가 높기 때문에 비용이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실직도 힘든데, 건강보험료마저 올라가다니... 그러나 수입이 없는 사람에겐 다른 대안이 하나 더 존재하는데, 바로 피부양자가 되는 것이다.
건강보험 피부양자가 뭐지?
피보험자가 부양하는 가족, 급여의 수익자이며 그 부양가족을 ‘피부양자’라고 한다. 법적으로는 민법상의 신분관계보다도 주로 피보험자에 의해 생계유지되는 동일세대에 속하는 것 등의 생활관계가 중시된다. 이 경우에 약간의 수입이 있을지라도 관계없다.
피부양자는 간단히 말해 다른 사람에게 부양을 받는 사람으로, 피보험자가 부양하는 가족이다. (ex 어린아이, 할머니, 할아버지, 환자 등)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2.gif)
즉 가족 중 급여를 받고 있는 직장가입자가 있고, 생계유지를 한다면 이를 피보험자라 하며, 피부양자는 피보험자 아래에 들어가 피부양자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모두 과거에 부모님의 피부양자였다. 감사합니다...ㅜㅜ)
건강보험 피부양자 취득해야 할까
직장가입자보다 지역가입자가 비용적인 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소득이 없는 사람은 직장인의 피부양자가 되는 것이 좋다.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 → 직장인 피부양자
(피부양자도 자격요건이 있기 때문에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피부양자 자격요건을 만족하고, 가족 중 직장가입자가 있을 경우 피부양자 취득이 가능하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방법
직장인 피부양자 신청 방법으로 직장가입자가 90일 이내 신고해야 한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보험이 변경될 당사자인 (소득이 없는) 피부양자가 아니고, 부양하는 사람(피보호자)이 신고한다. 또한 증빙서류가 필요하다.
1) 누가 신청하나?
-피보호자
2) 기한은?
-90일 이내
3) 필요한 서류는?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 시 필요서류
피보험자와 피부양자의 관계에 따라 필요서류가 다르지만, (부부, 부모님, 배우자의 부모님 등) 나의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가 필요했다.
<피부양자 신청 시 필요서류>
- 부부 : 주민등록등본
- 부모님 : 가족관계증명서
(30세 이상의 자녀가 피부양자가 될 경우, 혼인관계증명서 필요)
- 배우자의 부모님 : 혼인관계증명서
부모님 아래로 들어가는 경우, 자식이 미혼임을 증명해야 하므로 혼인관계증명서를 제출해야 한다.
아직 어린 나이, 즉 20대 초중반이라면 제출 의무가 없다. 그러나 일정 나이 이상이라면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예전엔 30세였는데, 요즘은 기준이 더 내려가서 28세라고 알고 있다)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공단에 직접 전화해 보기를 바란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 시 필요서류 전송
1. 팩스
2. 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도 가능하지만,
나는 좀 더 편하게 3. 온라인으로 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0.gif)
피부양자 자격취득 신고서를 직접 작성, 출력하여 필요서류와 함께 팩스를 보낸 적도 있는데 이번엔 더 편하게 온라인으로 신청했다.
다음 글에서는 온라인 서류 전송에 대해 알아보겠다.
퇴직 후 할 일)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 2 - 서류전송
퇴직 후 할 일) 건강보험 피부양자 신청 2 - 서류전송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1.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https://www.4insure.or.kr/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 2. 공인인증서 개인비회원 로그인을 한다. 건강보험 피
soorun.tistory.com
같이 읽으면 좋은 글
퇴직 후 건강보험 어떻게? - 임의계속가입 해야 할까?
'세상사 고달프지만 또 안 할 수 없으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납부 (2021년 9월) (0) | 2021.09.14 |
---|---|
재산세 납부 (2021년 7월) (0) | 2021.07.30 |
매년 4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신청하자! (0) | 2021.07.22 |
5월은 세금 나는 달~ 해외주식 양도소득세가 뭐지? (0) | 2021.07.21 |
퇴직 후 할 일) 건강보험 피부양자 온라인 신청 - 필요서류전송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