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 과세기간, 신고기간
7월에는 지난 상반기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매출액에 대한 부가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모든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세 (뜻, 계산, 신고기간, 신고 횟수)
부동산 임대업 일반사업자는 1월과 7월 두 번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부동산 임대 계약 갱신 시 부가가치세 신고
저는 매년 1월 부동산 임대 계약이 갱신됩니다. 그래서 7월에는 갱신된 부동산 임대 계약 내용이 들어가야 해서 신고과정이 조금 복잡합니다.
부동산임대 공급가액명세서를 새롭게 작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2023년에도 한번 신고해 봤기 때문에 올해도 찬찬히 해보겠습니다!
아래글을 참고하세요~
[부동산 임대 계약 갱신 시] 일반사업자 부가가치세 셀프신고 2023
부동산 임대 계약 갱신 시 부동산임대 공급가액명세서 작성
부동산 임대 계약 갱신으로 임대사업명세에는 내역이 2개가 되어야 합니다.
(이전 계약, 갱신된 계약)
계약 내용에 따라 입주일, 퇴거일, 갱신일을 입력합니다.
입주일(과세기간시작일)
퇴거일(갱신일 전일)
갱신일(계약변경일)
예를 들어
보증금 : 500만 원 그대로
갱신 전 월세 : 300,000원 + 부가세 30,000원
갱신 후 월세 : 700,000원 + 부가세 70,000원
갱신일 : 1월 12일
이라면
임대사업명세에 1월 1일 ~ 1월 11일 내용을 입력합니다.
퇴거일 1월 11일을 입력합니다. (갱신일, 입주일은 따로 입력하지 않습니다)
[임대계약내용] 월임대료에 부가세가 포함되지 않은 월세금액 30만 원을 입력합니다.
보증금이자, 월임대료합계는 자동계산됩니다. (월임대료합계는 30만 원이 됩니다. 0으로 고쳐줍니다)
임대사업명세에 1월 12일 ~ 6월 30일 내용을 입력합니다.
갱신일, 입주일에 1월 12일을 입력합니다. (퇴거일은 따로 입력하지 않습니다)
월임대료 칸에는 갱신된 월세금액 70만 원을 입력합니다.
보증금이자, 월임대료합계는 자동계산됩니다. (월임대료합계는 420만 원이 됩니다)
[입력내용추가]합니다.
1월 12일을 기준으로 임대사업명세 2건이 입력됐습니다.
임대료 수입금액 월임대료 합계에 월세액이 6번 맞게 들어갔는지 확인합니다.
자세한 단계별 캡처화면을 보고 싶다면 아랫글을 참고하세요.
[부가가치세] 부동산임대 갱신 시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보증금, 월임대료, 보증금 이자, 월임대료 합계, 입주일, 갱신일, 퇴거일)
부동산 임대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매출세액 구하기
일반과세자의 부가가치세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세액 - 매입세액'입니다.
부동산임대업으로 얻을 수 있는 매출은 임대료와 보증금이자입니다.
매출액 = 임대료 + 보증금이자
매출세액 = (임대료 + 보증금이자) x 10%
(1), (4)를 각각 작성하기를 누르면
과세 세금계산서 발급분 (1) : 월임대료합계
과세 기타 (4) : 보증금 이자
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부동산임대 공급가액명세서에 작성한 내용에 자동입력됩니다.
월임대료 70만원씩 6개월이므로 (1)은 420만 원, 세액은 10%로 42만 원 자동계산됩니다. 보증금이자는 은행 이자율에 따라 자동적용되어 입력됩니다. (1)과 동일하게 (4) 또한 매출세액 10%가 자동계산됩니다.
매출액은 임대료 420만 원 + 보증금이자 87,021 = 총 4,287,021원
매출세액은 매출액의 10%에 해당하는 428,702원
입니다.
과세표준 및 매출세액
- 과세 세금계산서 발급분 : 6개월간 총 임대료
- 과세 기타(정규영수증 외 매출분) : 6개월 간 총 보증금이자
과세표준명세
- 6개월간 월세 + 보증금이자
[부가가치세] 부동산임대 일반과세자 과세표준(보증금/간주임대료) 구하기
과세 세금계산서 발급분 (1) : 월임대료합계
과세 세금계산서 발급분을 누르면, 매출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 창이 뜹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불러오기]를 누르면 자동입력됩니다.
직접 수동으로 입력한다면
임차인이 1명이라면 매출처수 : 1
임차인이 2명이라면 매출처수 : 2
6개월 치 월세이므로 매수 : 6
공급가액은 월세 x 6을 넣습니다. (세액 10%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월세 70만원, 부가세 7만 원 일 때 공급가액에 420만 원을 입력합니다.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에서 작성한 임대료 수입금액 합계 420만 원과 동일합니다.
매출처수, 매수, 공급가액을 넣으면 세액은 자동계산됩니다.
과세 기타 (4) : 보증금임대료
보증금이자 87,021 가 자동입력됩니다.
부동산임대 공급가액명세서에 작성한 내용에 자동입력됩니다.
부동산 임대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부동산 임대업의 경우, 매입세액은 대개 발생하지 않습니다.
매입세액 관련은 아랫글을 참고하세요.
[부동산임대 계약 그대로 유지 시]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셀프신고 2024
부동산 임대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공제세액
부동산임대업 일반사업자가 부가가치세 신고 시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는 두 가지입니다.
전자신고 세액공제,
전자세금신고서 발급 세액공제
전자신고세액공제는 셀프로 부가세 신고 시 받을 수 있습니다. (10,000원)
전자세금신고서 발급 세액공제는 발급건당 200원입니다.
1달에 1건씩 6개월이면 1200원이죠.
임대가 2개라면 1달에 2건씩 6개월에 2,400원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새로 나온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세액공제' 알아보기
부동산 임대업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납부할 세액
부동산 임대업 일반과세자의 부가가치세 납부액은
매출세액 - 매입세액 - 공제세액
으로
(6개월치 임대료 + 보증금합계) x 10% - 0 - 11,200원입니다.
428,702원 - 0 - 11,200원 = 417,502원입니다.
부동산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예상금액 - 세금이 얼마 정도 나올까?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부동산 임대업 일반사업자,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전 알아둘 사항
[부가가치세] 부동산임대 갱신 시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작성
부동산임대 일반사업자로 등록하는 이유 (부가가치세 환급)
'세상사 고달프지만 또 안 할 수 없으니 > 부가가치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부동산임대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납부는 면제임!!) (1) | 2024.07.14 |
---|---|
[부가가치세]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세액공제 알아보기 (0) | 2024.07.06 |
[부동산임대업]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횟수, 세율) (0) | 2024.07.05 |
[부동산임대 계약 갱신 X]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셀프신고 2024 (1) | 2024.01.01 |
부동산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예상금액 - 세금이 얼마 정도 나올까? (1) | 202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