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업무용 오피스텔을 [사업자]에게 임대하는 일반임대사업자
오피스텔 일반사업자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사업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오피스텔 일반사업자의 임대수익은 사업소득으로 잡힙니다.
다른 소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를 활용하여 임대수익 외 다른 수익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임대수익(=사업소득) 뿐이라면, 사업소득만 있는 다른 사람이 어떻게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는지 보고 따라 하면 됩니다. 사업소득과 기타소득이 함께 있다면 같은 사례를 찾아서 따라 해 보세요.
소득 여러 개 일 때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 모두채움
임대수익만 있고, 다른 수익은 없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기본사항
1) 귀속년도 : 2023년 한 해 벌어들인 소득을 24년 5월에 신고합니다. 귀속년도는 2023년입니다.
2)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조회] 누르고,
3) 휴대폰번호를 입력합니다.
4) [저장 후 다음 이동]을 누릅니다.
02.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소득금액을 구하고, 소득공제, 세액공제 순입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 소득 종류 선택
1) 소득 종류에서 '사업소득'을 선택하고,
2) [소득종류 선택완료]를 누릅니다.
오피스텔 임대수익(사업소득) 뿐이므로 사업소득만 체크했는데요, [부동산 임대업의 사업소득] 외의 다른 소득이 있다면 추가해 줍니다.
[근로/연금/기타(종교인) 소득 명세서]에서 [근로/연금/기타 소득 불러오기]를 누릅니다. 팝업창에 소득이 뜨지 않는다면 (근로소득, 기타소득, 연금소득 없음이므로) 빈칸으로 두고 넘어갑니다.
어떤 종류의 소득 있는지 소득의 종류와 금액을 미리 알고 싶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를 이용하세요!
홈택스 - 조회/발급 -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 - [신고 안내자료]
종합소득세 수입금액을 구했습니다.
세액의 계산에서 [사업소득정보]를 보면, 사업소득금액 명세에서 수입금액(7,844,998원)이 알아서 찍혀있습니다. 입력 안돼 있으면 추가합니다.
종합소득세 소득금액을 구합니다.
2023년 얻은 총소득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소득금액은 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뺀 값입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 소득금액 구하기
사업소득의 소득금액(사업소득금액) = 사업소득 수입금액 - 필요경비
즉 2023년 얻은 사업소득금액은 = 수입금액(7,844,998원) - 필요경비입니다.
-소득의 종류가 여럿이면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사업소득) 모두 합하여 총소득금액을 구합니다.
-저는 사업소득뿐이라 종합소득금액 = 사업소득금액입니다.
종합소득세 - 사업소득 필요경비
사업소득에 대한 필요경비는 복식부기의무자는 세무서가 계산해 줍니다. 저처럼 종합소득세 셀프신고하는 간편장부대상자는 더 간단한데요, 사업소득 필요경비는 추계신고 시 경비율에 따라 자동 계산됩니다. (따로 계산할 필요 없어요~!!)
저는 단순경비율 대상자이므로 41.5%로 계산합니다.
임대사업자의 기준경비율은 16.7%, 단순경비율은 41.5%입니다.
부동산 임대업자 간편장부대상자는 직전연도 임대수입이
2,400만 원 ~ 7,500만 원 : 기준경비율 적용
2,400만 원 미만 : 단순경비율 적용
입니다.
직전연도 임대수입이 2,400만 원 미만인 부동산 임대사업자는 단순경비율(41.5%)을 적용하여 필요경비를 구합니다.
사업소득 수입금액 = 7,844,998원 (알아서 찍힘)
사업소득 필요경비 = 수입금액 x 단순경비율 (알아서 계산됨)
7,844,998원 x 0.415 = 3,255,674원
사업소득금액은 = 수입금액 - 필요경비
7,844,998원 - 3,255,674원 = 4,589,324원이 됩니다.
종합소득세 - 소득공제, 세액공제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에서 소득금액(4,589,324원)을 구했습니다.
이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남았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해당사항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피스텔 일반임대사업자]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시 미리 확인할 것!
제 경우 공제내역은 두 가지입니다.
국민연금보험료, 연금계좌세액공제
소득공제로는 국민연금, 세액공제로는 연금계좌가 해당됩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소득공제
제게 해당되는 소득공제는 인적공제와 국민연금입니다.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근로소득자] - 인적공제, 연금보험료공제, 주택자금공제, 신용카드 등 사용액
1) 인적공제 : 인적공제는 본인 150만 원입니다. 여성의 경우 추가공제로 부녀자 공제(50만 원)가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2) 국민연금 : (23) 연금보험료 공제는 국민연금 납입액으로, 과세기간 1년간 납입한 국민연금보험료는 전액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소득공제 입력한도 (납부액 확인, 소득공제 한도, 중도퇴사 시)
저는 국민연금 납부액 확인 후 (23) 연금보험료 공제 란에 1,077,240원을 기입했습니다.
(+ 노란우산공제는 오피스텔 일반사업자는 해당사항이 없어 그냥 넘어갑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과세표준
23년의 총 소득금액은 4,589,324원입니다.
소득공제액은 인적공제 + 국민연금 납입금
= 2,000,000 + 1,077,240 = 3,077,240원 입니다.
소득금액과 소득공제 결과, 자동으로 과세표준이 나옵니다.
소득금액 - 소득공제액 = 과세표준
4,589,324원 - 3,077,240원 = 1,512,084원
지금까지의 과정을 통해 과세표준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산출세액
과세표준을 구했다면, 과세표준에 맞는 세율이 자동적용되어 산출세액이 나옵니다.
산출세액 = 과세표준 x 세율
과세표준이 1,200만 원 이하일 경우 세율은 최저세율인 6프로가 적용됩니다.
산출세액은 1,512,084원 x 0.06으로 자동계산되어 90,725원이 나옵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근로소득자, 사업소득자처럼 소득의 종류에 따라 항목이 달라집니다.
종합소득세 세액공제 [근로소득자] - 자녀세액공제, 연금계좌세액공제, 기부금세액공제, 표준세액공제, 전자신고세액공제, 월세액세액공제
제 경우 세액공제 항목은 연금계좌세액공제, 표준세액공제, 전자신고세액공제입니다.
오피스텔 일반임대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시 세액공제 항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자녀세액공제 : 자녀여부에 따라 체크합니다.
해당 사항이 없어 공백으로 두고 넘어갔습니다.
2) 연금계좌세액공제 : (39) 연금계좌세액공제는 [연말정산간소화 불러오기]를 누릅니다. 소득을 얻은 기간만 체크합니다. 1~6월까지 라면, 1~6월까지만 체크를 합니다. >>>>매우 중요<<<<
해당 사항이 없어 공백으로 두고 넘어갔습니다.
3) 표준세액공제 : 근로소득이 없고 종합소득금액이 있다면, 표준세액공제 7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세액공제에서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저는 사업소득만 있어서 표준세액공제 7만 원 받았습니다.
4) 전자신고세액공제 : 종합소득세 신고를 온라인으로 한 것에 대한 세액공제입니다. 잊지 말고 챙기세요!
저도 2만 원 세액공제를 받았습니다.
5) 기장세액공제 : 복식부기 의무가 없는 간편장부대상자가 (세무대리인을 통해) 복식장부를 작성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도 됩니다. (굳이...?) 이때 기장세액의 20%를 100만 원 한도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기장세액공제 글을 참고하세요.
저는 해당 사항이 없어 공백으로 두고 넘어갔습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결정세액
결정세액은 최종적으로 내야 하는 세금으로, 2023년 총소득에 대해 내야 할 종합소득세라 할 수 있습니다. 앞서 구한 산출세액은 90,725원입니다.
결정세액 = 산출세액 - 세액공제
표준세액공제 7만 원
전자신고세액공제 2만 원
연금계좌세액공제는 315,00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정세액은 마이너스 값이 나올 수 없으므로, 결정세액은 0원이 됩니다.
연금계좌세액공제는 (315,000원 중) 725원만 받으면 됩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납부할 세금
앞서 미리 납부한 세금이 없어서 기납부세액은 0원입니다.
납부할 세액 = 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결정세액과 기납부세액이 0원이므로, 0 - 0 = 0으로 납부할 세액은 없습니다.
사업소득만 있는 오피스텔 일반임대사업자의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이 끝났습니다.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 지방소득세 신고
종합소득세 신고를 끝내고 이어서 지방소득세 신고도 합니다. 홈택스에서 연계되어 바로 신고가능하며, 종합소득세 신고에 비하면 정말 쉽습니다. 그냥 마우스 몇 번 클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종합소득세 유형 확인하고(간편장부, 단순경비율) 업종코드, 수입금액 확인 하자!
'세상사 고달프지만 또 안 할 수 없으니 > 종합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연말정산 후, [종합소득세 신고] 해야 할까? (0) | 2024.05.29 |
---|---|
[오피스텔 일반임대사업자]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시 미리 확인할 것! (0) | 2024.05.24 |
사업소득만 있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0) | 2024.05.14 |
종합소득세 셀프신고 시 미리 알아두면 좋은 내용 (0) | 2024.05.13 |
과세표준이 0보다 작은 경우 0으로 합니다. (0) | 2024.05.12 |